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MBTI 성격유형 4 - 탐험가형 : ISTP, ISFP, ESTP, ESFP [일반적 특성] ․ 어떤 일이든 노력에 비해 효율이 높다. ․ 시험에 벼락치기로 일관하는 경향이 있다. 노력해서 받는 A보다 벼락치기로 받는 B에 안주하는 편. ․ 간단명료하게 말하는 걸 선호한다. 쓸데없는 서론이나 부사어를 덧붙이는 사람과의 대화는 매우 답답해한다. ․ 소비성 경향이 강하다. ․ 틀에 박힌 생활을 싫어한다. ․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없는 편이다. 융통성이 있으며, 새로운 것에 대한 저항이 크지 않다. ․ 위계와 권위는 군더더기로 간주하며 맹렬히 반항하는 평등주의자이다. ․ 현실감각이 뛰어나며 임기응변에 능하다. ․ 객관적 원리에 관심이 많으며 추상적인 이론이나 개념에 관심이 없다. ․ 종교를 가질 가능성이 매우 낮다. ․ 정밀을 요하는 일을 잘 해낸다. ․ 도구를 다루는데 관심이 있다. .. 2020. 7. 24.
MBTI 성격유형 3 - 외교형 : INFJ, INFP, ENFJ, ENFP [일반적 특성] ․ 가장 흔치 않은 성격 유형으로 전 세계 인구의 채 1~2%도 되지 않는다. ․ 인내심이 많다. ․ 영감력이 뛰어나고 깊이 있는 통찰력이 높다. ․ 존재에 대해 생각해 보고 생과 사, 영적인 문제에 관심이 많다. ․ '사람'에 대한 관심이 많다. ․ 어떤 일에 의미 부여하는 것을 좋아한다. ․ 보이지 않는 정신세계를 추구한다. ․ 초, 중, 고 학생들은 방황을 할 수가 있다. ․ 정치 성향 면에서 좌익 성향이 제일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거짓말을 날카롭게 간파한다. ․ 생각이 많아 현실 적응에 어렵다. ․ 상대의 감정을 잘 파악하지만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 같은 나이에 비해서 조숙해 보인다. ․ 깨지지 않는 차분한 아우라를 지닌 사람들이 많다. 신비로운 분위기를 내는.. 2020. 7. 24.
MBTI 성격유형 2 - 분석형 : INTJ, INTP, ENTJ, ENTP [일반적 특성] ․ 깊은 탐구와 지능을 중시한다. ․ 이론과 진실을 강하게 추구하는 이과 성향이 강하다. 철학(논리학), 물리학, 언어에 관심이 많다. ․ 자기가 선택한 과목이나 분야에 대한 숙달을 확신한다. 이 때문에 얕은 지식으로 가십 떠는 사람을 낮잡아 본다. ․ 대학 수학능력시험 성적 평균이 가장 높다. ․ 평균 학업 성적과 평균 IQ(지능 지수)도 INTP와 더불어 1위에 해당한다. ․ 비상 계획을 준비하는 편이다. ․ 혼자 혹은 소규모 팀을 꾸려 일하는 것을 좋아한다. ․ 일관성 없이 마구잡이로 엮인 것들을 해체하여 깔끔하게 재구성하려고 한다. ․ 필요 이상으로 어려운 활동을 즐긴다. ․ 제한 사항이 많은 전통을 싫어하며 '왜 그래야 하는지'에 대한 검토를 다 받아야 직성이 풀린다. ․ 감수성.. 2020. 7. 24.
MBTI 성격유형 1 - 관리자형 : ISTJ, ISFJ, ESTJ, ESFJ [일반적 특성] ․ 오래된 조직을 좋아한다. ․ 부하 직원을 부모와 자녀 관계와 같이 돌보려고 한다. ․ 선입견이 강하다. ․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나서기를 주저한다. ․ 지나고 난 다음에 따지는 편이다. ․ 주어진 업무나 책임을 끝까지 완수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장남 같다’, ‘장녀 같다’라는 소리를 잘 듣는다. ․ 변화에 적응이 더디다. ․ 원리 원칙적이다. ․ 교통체증을 미리 계산해서 약속시간을 지킨다. ․ 이유없이 돌아다니지 않는다. ․ 대인관계 폭이 자꾸 좁아지고 그 대신할 일이 늘어 난다. ․ 실수한 것을 참지 못하고 즉각 수정하기를 원한다. ․ 남들이 속을 모른다라고 말한다. ․ 틀에 박힌 규칙적인 일을 좋아한다. ․ 휴일에도 집에서 주로 지낸다. ․ 참고 참았다가 확 터뜨리는 편이다. .. 2020. 7. 24.
실내공기정화식물 11편 - 시크라멘(시클라멘), 아나나스, 튤립, 팔레놉시스(호접란), 칼렝코에 안녕하세요. 한 번에 실내 정화식물 5개씩 다뤘는데 벌써 11편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NASA 선정 50가지 식물에 대하여는 마지막 편이 될 것 같습니다. 지난번 1편(개요)에서 10편에 이어서 오늘도 5가지 식물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0편까지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제 블로그 ‘실내공기정화식물’ 카테고리를 방문하셔서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물은 NASA 선정 실내공기정화식물 46위부터 50위를 차지한 식물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시크라멘(시클라멘), 아나나스, 튤립, 팔레놉시스(호접란), 칼랑코에입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공유순서] 1. 시크라멘(시클라멘) 2. 아나나스 3. 튤립 4. 팔레놉시스(호접란) 5. 칼랑코에 1. 시크라멘(시클라멘) (앵초과 /.. 2020. 6. 24.
실내공기정화식물 10편 - 크로톤, 포인세티아, 아잘레아, 칼라데아 마코야나, 알로에베라 안녕하세요. 한 번에 실내 공기정화식물을 5개씩 다루고 있는데 벌써 10편이네요. 지난번 1편(개요)에서 9편에 이어서 오늘도 5가지 식물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9편까지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제 블로그 ‘실내공기정화식물’ 카테고리를 방문하셔서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물은 NASA 선정 실내공기정화식물 41위부터 45위를 차지한 식물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크로톤, 포인세티아, 아잘레아, 칼라데아 마코야나, 알로에베라입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공유순서] 1. 크로톤 2. 포인세티아 3. 아잘레아 4. 칼라데아 마코야나 5. 알로에베라 1. 크로톤 (대극과의 상록관목 / 원산지 : 스리랑카, 동남아, 오세아니아) 크로톤은 빛에 따라 잎에 다양한 색을 보여주는 남.. 2020. 6. 19.
임대차 3법 개정논의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임대차 3법 개정 논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1대 국회 임기가 시작되면서 이른바 ‘임대차 3법’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전월세 신고제) 개정을 위한 입법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임대차 3법 논의가 무엇이고, 이와 관련하여 임대차 시장 등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유 순서] 1. 임대차 3법 개정 논의 배경2. 주요 내용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전월세 신고제)3. 예상 효과 (시장 영향, 부작용 등)4. 총평 1. 임대차 3법 개정 논의 배경 문재인 정부는 출범 후 서민 주거안정을 주택 정책 핵심과제 중 하나로 삼았습니다. 이를 위하여 임대사업자 등록을 독려하는 등.. 2020. 6. 14.
실내공기정화식물 9편 - 맥문동, 덴드로비움, 접란, 아글라오네마, 안스리움 안녕하세요. 지난번 1편(개요)에서 8편에 이어서 오늘도 5가지 식물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8편까지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제 블로그 ‘실내공기정화식물’ 카테고리를 방문하셔서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물은 NASA 선정 실내공기정화식물 36위부터 40위를 차지한 식물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맥문동, 덴드로비움, 접란, 아글라오네마, 안스리움입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공유순서] 1. 맥문동 2. 덴드로비움 3. 접란 4. 아글라오네마 5. 안스리움 1. 맥문동 (백합과 / 원산지 : 한국, 일본, 중국) 맥문동은 ‘신선의 음식, 약재’로 불리는 뿌리와 꽃을 약초로 이용할 수 있는 약용식물입니다. 그래서, 다른 식물보다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습니다. 맥문동이라는 이.. 2020. 6. 13.
실내공기정화식물 8편 - 호마르메나 바르시, 마란타, 왜성바나나, 게발선인장, 그레이프 아이비 안녕하세요 지난번 1편(개요)에서 7편에 이어서 오늘도 5가지 식물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편까지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제 블로그 ‘실내공기정화식물’ 카테고리를 방문하셔서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물은 NASA 선정 실내공기정화식물 31위부터 35위를 차지한 식물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호마르메나 바르시, 마란타, 왜성 바나나, 게발선인장, 그레이프 아이비입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공유순서] 1. 호마르메나 바르시 2. 마란타 3. 왜성 바나나 4. 게발선인장 5. 그레이프 아이비 1. 호마르메나 바르시 (원산지 : 아시아와 아메리카의 열대지방) 다른 이름으로는 ‘king of hearts'로 불리기도 하는 호마르메나 바르시는 희귀 식물로 정보가 많지 않습니다.. 2020. 6. 12.